페이지

2010년 10월 22일 금요일

Xen Server_03

아아- 지금까지 배워온 바를 정리해보자. 많은 정보들이 스쳐지나갔더니, 뭐 남는게 많지 않다; 에라이.. 하지만 조금씩 큰 틀이 잡혀가는 게 도움이 많이 되고 있다. 그게 제일 큰 소득.

<Basic>

  • Zen Server는 linux기반의 가상화 툴로서 VMware나 Virtual Box와 같은 역할을 한다. 
  • Zen Server에서의 Hypervisor는 하드웨어 바로 위의 얇은 가상의 소프트웨어 층으로서 여러 개의 vm이 구동될 때, cpu 스케줄링과 ram 파티셔닝을 담당하며 vm이 Control Domain을 거치지 않고도 접근이 가능하도록 도와줌으로서 속도와 효율성에 향상을 가져 온다. 
  • 이 때, cpu와 ram을 제외한 vm을 구성하는 요소들, 즉 network, disk, drivers(music, video 등) 은 Domain 0 를 통해서만 Physical hardware에 접근이 가능하다. 
  • 각각의 Zen Server는 Zen Center를 통해 원격으로 접근하고 조정할 수 있다. 
  • Windows 버젼에는 paravirtualization을 위한 추가적인 커널과 드라이버를 Zen-tool을 통해 설치해 주어야 하지만, 대부분의 Linux버젼에는 이미 OS상에 포함이 되어있어 추가적인 설치가 꼭 필요하지 않다. 
  • Zen Server에서 OS의 설치는 Template를 통해 이루어 진다. Gold disk라는 각 os에 맞게 최적화가 이미 되어 있는 이미지를 사용하여 설치한다.
  • Zen Convert를 이용하여 P2V, V2V를 사용할 수 있다. P2V는 physical 서버나 desktop의 workload를  Zen Server의 vm이나 vDisk로 변환하는 것을 말한다. V2V는 virtual한 가상 머신을 또다른 포멧으로 변경할 수 있는 방법을 뜻한다. 
아악!!!!!!!!!!!!!!!!!!! 공부허기 실타~ ㅋㅋㅋㅋ 오늘은 7장까지만 할려. 
내일 인나서 해야지..

할랬는데. 걍 좀 더 하자. 
  • vm에게 virtual disk가 살아있는 상태에서 갯수를 추가하거나 제거하는게 가능하다. 하지만, 그 크기 자체를 줄이는 것은 할 수 없다. 
  • Virtual NIC 은 살아있는 상태에서 더하고 제거, 수정이 가능하다. 
  • Virtual CPU의 수를 수정하는 것은 커널의 변화가 전혀 없지만, wondows vm이라면 리붓이 필요하다. 
  • Memory의 management는 DMC를 이용해서 이루어진다. Dynamic Memory Control의 약자로, 정해진 크기의 메모리를 할당하는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ZenServer가 지정된 memory의 최대값과 최소값 사이에서 운영을 해준다. 
  • cpu는 Vcpu의 숫자와 균등하게 스케줄러를 실행하게 된다. 하지만 이때에도 priority를 각 vm마다 할당 할 수 있어 resource optimization을 행할 수 있다. 
  • Storage의 입출력은 0~7까지의 piority를 지정해서 조정하고 이때, 0이 가장 높은 priority를 가진다. 
쉬밤. 9장까지 했다. 흐허- 세세한 내용은 빠져있겠지만, 그래도 좀 복습도 되고 정리도 되는구만. 이제 남은 부분은 오늘 배운 부분. ㅅㅂ.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