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2010년 10월 19일 화요일

Xen Server_02

들어가기에 앞서.. 사실 오늘 배운 부분은 그렇게 많지 않다. 예제와 실습이 많았을 뿐, 새로운 내용을 나간 부분은 적었다.(아니면 내가 이해를 못했거나ㅋㅋ) 암튼, 오늘도 Shane으로 부터 배워 본 내용을 정리해보자.

윈도우 / 리눅스 vm 만들기.

  • 윈도우는 vm을 설치 후에, xen tool을 설치해 줘야만, paravirtualization이 이루어 지지만, 리눅스는 이미 xen커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따로 xen툴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다만, 조금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linux paravirtualization drivers를 깔아준다. 
Templates and Life-cycle operation
  • Xen에서의 template란 각 운영체제(Windows server 2003, Redhat, Centos etc)에 최적화 되어있는 설정값을 미리 지정해 둔, 틀을 말한다. 사용자는 새로운 vm을 추가할 때, 이런 template에서 전에 설정해 둔 설정들로 빠르고 쉽게 생성할 수 있다. 
Xen Convert (추가 공부 필요)
  • Xen Convert는 Physical to Virtual, Virtual to Virtual 두가지의 기능을 할 수 있다. 
  • P2V는 online에 있는 Physical적인 server나 desktop을 vm으로 만들 수 있는 것?
  • V2V는 offline에 있는 Physical적인 server나 desktop을vm으로 만들 수 있는 것?
  • 이해한 바로는 현재 백업을 위한 Ghost와 비슷하지 않나.. 하는 생각을 했음.
Resource Management(추가 공부 필요)
  • vm의 start option 중, autu-start는 어떠한 server가 시작할 때, 같이 시작한다는 것인지?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