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2010년 10월 26일 화요일

DAS, SAS, NAS, SAN

DAS(direct attached storage)
 서버와 전용 케이블로 연결한 외장형 저장 장치. 서버/클라이언트 환경에서의 부족한 저장 공간을 가장 쉽게 확보하는 방법으로 서버 자체에 물리적으로 외부 저장 장치를 연결하는 것입니다.
 네트워크에 연결된 각 서버에 외부 저장 장치를 추가함으로서 필요한 데이터를 물리적으로 가까운 곳에서 접근할 수 있고 확장이 용이합니다.
 하지만 데이터의 증가에 따른 외부 저장 장치의 계속적인 추가는 서버의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습니다. 또 다른 문제는 네트워크상의 서버가 다운되는 경우에는 중지된 서버에 장착된 저장 장치도 사용할 수 없게 되어 중앙 집중식 시스템과 같은 취약점이 있습니다.
---------------------------------------------------------------------------
SAS(Serial Attached SCSI)
 SAS는 전통적인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face)보다 훨씬 더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설계된 직접 연결 스토리지용 통신 프로토콜입니다.
 SAS는 병렬 방식(즉 SCSI 같은 것) 대신 직렬 통신 방식을 사용합니다. 즉 USB나 파이어와이어와 유사합니다. SCSI의 뒤를 잇는 기술로서 SAS는 기기와 대화하는 데 이용하는 SCSI 명령을 그대로 사용합니다.
 SAS 드라이브는 고성능/고가용성을 위해 만들어졌으며, 가격과 성능 면에서 엔터프라이즈급 스토리지에서 사용되는 FC(Fibre Channel) 드라이브에 견줄만합니다.
 1세대 SAS 인터페이스는 초당 3Gbps의 쓰루풋(throughput)을 내며, 2010년까지는 12Gbps가 나오게 될 것입니다.
---------------------------------------------------------------------------
NAS(Network Attached Storage)

사용자 삽입 이미지
1) 개요
* NAS는 Server와 Client가 Storage의 Network 에 의하여 원활한 접근을 할 수 있게 해 주는 Network 방식입니다.
2) 특징 및 장점
* Network에 연결된 NAS Server에 의해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합니다.
* LAN, WAN등의 Data Network을 이용하여 접근합니다.
* 고성능, 고가용성을 위한 전용 OS가 탑제되어 있습니다.
* 이 기종간의 파일 공유가 가능합니다
* 경제적으로 용이하며 설치가 용이합니다
* 저장장치의 유지 및 관리가 편리하다.
* 시스템을 정지시키지 않고 데어터 백업, 복구를 할 수 있습니다
* 시스템 변경 및 확장이 용이합니다
3) NAS의 필요성
* 데이터 관리를 온라인 상에서 필요로 할때
* 웹 호스팅업체 (자료실, 게시판)
* 금융기관(문서 공유, Report공유)

--------------------------------------------------------------------------
SAN(Storage Area Network)

사용자 삽입 이미지
1)개요
* 현재 직면해 있는 대용량의 Data와 고속의 Data 전송을 필요로 하는 Server와 Storage간의 원활한 접속을 Fibre Cahnnel의 기술과 접목시킨 SAN에 의하여 신속한 업무 처리와 흐름을원활히 해줍니다.
2) SAN이란
* Storage Area network의 약어이며, Server나 Host들에게 사용되는 대용량의 Data를 집중시켜 보관하고, 이를 구성하는 장비들을 이용,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기술을 의미합니다.
* Host와 Storage가 분리되어 구성되어지며, Fibre Channel을 이용하여 고속전송,장거리 (cpooer : 30m, FC-AL:10km) 데이터 전송이 가능합니다.
* 서로 다른 운영체제를 가진 Server들이 같은 Network상의 Storage Data를 공유할 수 있습니다
* SAN을 이기종간의 여러 Server에서 하나의 Storage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SAN Managemeent Software가 별도로 필요하며 SAN Network을 별도로 구축해야 합니다.
3) SAN의 기능
* 용량의 확장성이 있고, Data 전송 속도가 빠르고 Data 전송거리를 늘릴 수 있으며, 장비와 Storage 공유로 인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 특정 Server에 제한 하지 않고 Data Backup 등 통합 관리가 용이합니다.
* SAN 환경에서 데이터 저장장치는 Host Server와의 기종에 관계없이 멀티 Server와 공유되며 Host Server와 관계없이 저장장치 운용
* Disk Array 나 Backup 장치의 공유, Backup 기능, Clustering 기능 지원


출처 : http://www.urinuri.net/55

Switch의 종류 및 role.

L2 스위치, L3 스위치, L4 스위치는 OSI7 layer중 어느 layer에서 수행되는가에 따라 결정

L2 스위치
2Layer(Datalink Layer)의 프로토콜인 이더넷, 프레임릴레이, ATM 등에서 스위칭 기능을 수행한다.
MAC Address

L3 스위치
3Layer(L3: Network layer)의 프로토콜인 IP, IPX등에서 스위칭 기능을 수행하여, 라우팅 기능을 스위치가 가지게 된다.
IP Address

L4 스위치
4Layer(L4: Transport Layer)의 프로토콜인 TCP, UDP등을 스위칭하며, 이때 TCP와 UDP 그리고 RTP(Real Time Protocol) 등의 헤더를 사용하여, FTP, HTTP, TFTP. SMTP 등의 프로토콜 중 어느 것에 대한 요구가 우선하는지 파악한 후 스위칭하게 된다.  주로 서버나 네트웍의 트래픽을 LoadBalancing하는데 이용된다.

L7스위치 
패킷의 헤더정보만 확인하는 L4에 비해 payload(e-mail제목/내용의 문자열, HTTP컨텐츠URL, FTP파일 제목, SSL ID, Cookie 정보, 특정 바이러스(e.g. CodeRed, Nimda)패턴등을 분석해 Packet을 처리하므로, 보안에 이용되어지는데 보다 높은 수준의 Intelligence를 갖춘 스위치일수록 더 정교한 패킷의 부하분산(Load Ballancing)및 Qos기능 구현이 가능함.
1) Dos/SYN Attack에 대한 방어
2) CodeRed/Nimda등 바이러스 감염 패킷의 필터링
3) 네트워크 자원의 독점 방지를 통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보안성 강화가 가능함.




출처 : blog.daum.net/if93014/676269

+++++++++++++++++++++++++++++++++++++++++++++++++++++++++++++++++++++++++++++++++++++++++++++++++
이더넷 스위치가 널리 쓰임에 따라 다양한 기능과 성능을 보유한 이더넷 스위치들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더넷 스위치의 발전 과정을 다양한 측면에서 바라볼 수 있으나, 아래의 그림과 같이 대역폭(Bandwidth), 기능(Function), 지능(Intelligence)을 큰 축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대역폭 측면에서 이더넷 스위치는 초기의 CSMA-CD (10Mbps )방식에서 Fast Ethernet, Gigabit Ethernet, 10 Gigabit Ethernet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한편 기능적 측면에서는 LAN (Local Area Network)안에서 네트워킹 유닛(호스트)간에 물리적인 연결을 목적으로 하였던 이더넷 L2 스위치는 지역망이 복잡해지고, 단일 LAN환경이 MAN (Metro Area Network) 영역으로 확대됨에 따라, VLAN과 QoS를 특징으로 하는 L3 스위치가 기업시장을 중심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더넷 스위치를 지능적인 측면에서 크게 OSI 참조 모델에 의한 7계층의 정의에 따라서, L2, L3, L4, L7 스위치로 구분이 가능합니다.



레이어 2 스위치는 OSI 참조 모델의 레이어 2 범주 (Ethernet Protocol 상에서 srouce MAC, destination MAC)에서 패킷의 경로를 제어하고, 레이어 3 스위치는OSI 참조 모델의 레이어 3 범주 (TCP/IP protocol 상에서는 source IP, destination IP)에서 패킷의 경로를 제어합니다. 

레이어 4 스위치는 기존의 이더넷 레이어 2스위치와 다른 차원의 스위치입니다. 레이어 4 스위치는 레이어 4 범주의 패킷을 분류하고 경로를 제어하는 것에서는 레이어 2 스위치 혹은 레이어 3 스위치와 동일하지만, 레이어 4 스위치의 독특한 기능은 레이어 4에서 발생하는 세션을 관리하고, 세션관리를 위한 패킷도 조작한다는 것 입니다.



OSI 참고모델의 주요 계층 널리 쓰이는 protocol

Layer 2 Ethernet II, IEEE 802.3/ 802.2 SNAP, NetWare 802.3 Raw
Layer 3 IP, ARP, IPX, Non IP/IPX, IPv6
Layer 4 TCP, UDP, ICMP
Layer 5 - Layer 7 HTTP, SNMP, Telnet, FTP, RTSP 

2010년 10월 24일 일요일

Proxy Server란?

프록시 서버(proxy server)
1) 정의
'프록시'란 말의 사전적인 의미는 '대리인'이다. 그렇다면 프록시 서버는 '어떤 작업을 대신해주는 서버'라는 의미가 된다. 즉,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와 서버(웹 서버) 사이에서 데이터를 중계하는 역할을 하는 서버가 바로 프록시 서버이다. 프록시 서버는 입장에 따라서 두 가지 측면을 갖는데, 웹 서버의 입장에서는 클라이언트와 같은 기능을, 클라이언트에서는 웹 서버와 같은 행동을 한다.

2) 동작 방식
프록시 서버는 클라이언트로부터 데이터를 요청 받으면 우선 자신의 캐쉬 영역에 해당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살펴보고, 있으면 클라이언트에게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러나 자신의 캐쉬 영역에 데이터가 없으면 원격 서버(remote server)에게 데이터를 요청해서 데이터를 전송 받은 후에 자신의 캐쉬 영역에 저장한다. 이와 같은 중계 역할은 접속 빈도수가 많은 호스트의 데이터를 프록시 서버가 캐슁함으로써 네트워크의 트래픽을 줄일 수 있고, 데이터 접근 속도도 빨라지는 이중의 효과를 가져온다. 프록시 서버 내에 저장된 데이터는 시간과 용량, 그리고 사용 빈도에 따라 나중에 삭제되거나 유지된다.

3) 프록시 서버의 기능
① 캐쉬(cache) 기능 : 네트워크의 트래픽을 줄이고, 데이터 전송 시간을 향상
② 방화벽(firewall) 기능 : 네트워크 외부로부터 허가 받지 않은 접속을 제한

2010년 10월 22일 금요일

Morning Question_4

What is Distributed locking ?

  • Shared Storage에 접속된 여러 vm들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 Master 만이 쓰고 읽을 수 있고 나머지 slaves는 읽기만 가능한 방법

Which member of the pool handles the distrubted locking ?

  • Master vm

How many master servers can we have in a pool ?

  • Only 1.

How many secondary servers ?

  • 15

WHen will a secondary automaticially become a master ?

  • when master server cannot be recovered.

What does Intel Felxmigration or AMD Extended Mirgation allow us to do in a hetrogenus pool ?

  • Intel과 AMD 사의 다른 CPU를 가지고도 Zen Motion을 할 수 있음. (live migration)

Why is NTP time syncronisation important to all the members of a pool ?

  • cus they use XML-RPC protocol to communicate with?

What happens to a VM if it has a local (internal only network) and you try to migrate it ?

  • Doesn't it depend on physical server's network? 

Xen Server_03

아아- 지금까지 배워온 바를 정리해보자. 많은 정보들이 스쳐지나갔더니, 뭐 남는게 많지 않다; 에라이.. 하지만 조금씩 큰 틀이 잡혀가는 게 도움이 많이 되고 있다. 그게 제일 큰 소득.

<Basic>

  • Zen Server는 linux기반의 가상화 툴로서 VMware나 Virtual Box와 같은 역할을 한다. 
  • Zen Server에서의 Hypervisor는 하드웨어 바로 위의 얇은 가상의 소프트웨어 층으로서 여러 개의 vm이 구동될 때, cpu 스케줄링과 ram 파티셔닝을 담당하며 vm이 Control Domain을 거치지 않고도 접근이 가능하도록 도와줌으로서 속도와 효율성에 향상을 가져 온다. 
  • 이 때, cpu와 ram을 제외한 vm을 구성하는 요소들, 즉 network, disk, drivers(music, video 등) 은 Domain 0 를 통해서만 Physical hardware에 접근이 가능하다. 
  • 각각의 Zen Server는 Zen Center를 통해 원격으로 접근하고 조정할 수 있다. 
  • Windows 버젼에는 paravirtualization을 위한 추가적인 커널과 드라이버를 Zen-tool을 통해 설치해 주어야 하지만, 대부분의 Linux버젼에는 이미 OS상에 포함이 되어있어 추가적인 설치가 꼭 필요하지 않다. 
  • Zen Server에서 OS의 설치는 Template를 통해 이루어 진다. Gold disk라는 각 os에 맞게 최적화가 이미 되어 있는 이미지를 사용하여 설치한다.
  • Zen Convert를 이용하여 P2V, V2V를 사용할 수 있다. P2V는 physical 서버나 desktop의 workload를  Zen Server의 vm이나 vDisk로 변환하는 것을 말한다. V2V는 virtual한 가상 머신을 또다른 포멧으로 변경할 수 있는 방법을 뜻한다. 
아악!!!!!!!!!!!!!!!!!!! 공부허기 실타~ ㅋㅋㅋㅋ 오늘은 7장까지만 할려. 
내일 인나서 해야지..

할랬는데. 걍 좀 더 하자. 
  • vm에게 virtual disk가 살아있는 상태에서 갯수를 추가하거나 제거하는게 가능하다. 하지만, 그 크기 자체를 줄이는 것은 할 수 없다. 
  • Virtual NIC 은 살아있는 상태에서 더하고 제거, 수정이 가능하다. 
  • Virtual CPU의 수를 수정하는 것은 커널의 변화가 전혀 없지만, wondows vm이라면 리붓이 필요하다. 
  • Memory의 management는 DMC를 이용해서 이루어진다. Dynamic Memory Control의 약자로, 정해진 크기의 메모리를 할당하는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ZenServer가 지정된 memory의 최대값과 최소값 사이에서 운영을 해준다. 
  • cpu는 Vcpu의 숫자와 균등하게 스케줄러를 실행하게 된다. 하지만 이때에도 priority를 각 vm마다 할당 할 수 있어 resource optimization을 행할 수 있다. 
  • Storage의 입출력은 0~7까지의 piority를 지정해서 조정하고 이때, 0이 가장 높은 priority를 가진다. 
쉬밤. 9장까지 했다. 흐허- 세세한 내용은 빠져있겠지만, 그래도 좀 복습도 되고 정리도 되는구만. 이제 남은 부분은 오늘 배운 부분. ㅅㅂ. 

2010년 10월 21일 목요일

Afternoon_Question_02

1. What are the types of pool members?
2. What must the XenServers have in common to be members of a pool?
3. What does the Master use to communicate with other members of the pool?

4. What is a heterogeneous pool ?
5. What are the normal tasks done in pool administration ?
6. What license is needed for a server to be part of a resource pool ?
7. What must you do before adding a server to a pool ?

8. What happens when you remove/eject 7a server from a pool and reboot ?

Morning Question_3

1. What is a storage repository?
2. What is a logical volume?
3. What is NFS?

  • Network File system.으로 네트웍을 통한 파일관리. 전송. 등

4. Why do we use logical volumes with hardware/physical RAID?

  • to allow give it to vms.어떤 vm들은 한 xen서버에서 실행시키는 것이 SR을 사용하는 것보다 나을 수 있다. 

5. Why do I use local storage for some VM's?

  • let's say u make a security vm. and don't want to share ur files. that's why. 

6. What is XenMotion?



7. What do I need to do to make XenMotion work?

  • Servers parkt of same resource pool
  • VHD need to be on shared storage repository
  • XenXervers need to ne configured to access shared SR
  • VM properties need to be modified to use the shared SR VHD file